Debug 모드에서는 PDB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되지만
Release 모드에서는 설정을 해줘야 생성이 됩니다.
먼저 Release 모드로 설정해줍니다.
프로젝트 오른 클릭으로 속성을 열거나 상단에 프로젝트->속성을 눌러서 속성창을 엽니다.
구성속성의 c/c++ 일반에서 디버깅 정보 형식을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Zi)로 설정합니다.
구성속성 중 링커의 디버깅에서 디버그 정보 생성을 예(/DEBUG)로 설정합니다.
설정하시면 Release 모드에서도 PDB 파일이 생성이 되지만 파일 사이즈는 약간 커질 수 있습니다.
만약 ptr(포인터)의 정보를 보고 싶으면 최적화를 비활성화 해야합니다.
최적화를 비활성화 하지 않아도 PDB파일은 생성됩니다. 포인터의 값을 보고싶은 경우 봐야만 하는 경우에만 최적화를 비활성화 시키면 됩니다.
덤프 파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PDB 파일이 필수입니다. 덤프 파일을 분석해야만 한다면 릴리즈 버전에서 잊지 말고 PDB파일이 생성되도록 설정합시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xdsLiteAPI (20) | 2010.01.27 |
---|---|
VS 2008 Express에서 PDB 파일 만들기 (12) | 2009.07.28 |
Comment 12
Comment
-
-
-
고양이 나올때가 좋앗는데 ㅠ.ㅠ
이해되는 것이 없네 쩝....
이런 무식 ㅋ
좋은글 고맙습니다.(인사치레 ㅎㅎ)
잘보고 갑니다.(이도 힘들다 인사치레도 ㅋ)
언제나 행복하시고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
-
-